개몽가

[배포 자동화 구축 4] Github push 하면 Jenkins에서 자동빌드 (Webhook 연동) 본문

Infra/DevOps

[배포 자동화 구축 4] Github push 하면 Jenkins에서 자동빌드 (Webhook 연동)

개몽가 2021. 1. 11. 23:32

 

출처 : 구글

지난편에 이어서 로컬에서 소스코드 변경 후, 깃 원격 리파짓토리에 push 진행 시 jenkins에서 이를 인지해 자동으로 빌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진행할 것이다.

 

Webhook(웹훅)

  • Web에서 Hooking(액션 앞 또는 뒤에 추가적인 일을 하도록 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
  • 서버에서 작업 수행 시, 해당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HTTP POST로 외부에 알리는 것.
  • Webhook을 구현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작업이 수행될 때 URL에 대해 POST방식으로 요청을 생성
  •  

로컬 프로젝트에 깃이 연동되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다.

 


Github에 Webhooks 설정

github 프로젝트의 Settings > Webhooks > add webhook 클릭

 

아래와 같이 입력

  • http://<jenkins 서버 IP>:<port>/github-webhook/
  • application/json 선택
  • Just the push event 체크

 

jenkins 구성설정은 아래 글 참고

 

[배포 자동화 구축 3] Jenkins와 Github 연동 및 gradle 빌드 세팅

jenkins와 github를 연동하는 방법과 gradle 빌드 환경 구성을 알아볼 것이다. 먼저 서버에 git, java가 설치되어있어야함 AWS EC2 인스턴스 위에 설치한 jenkins에 Github를 연동하는 과정에서 git repository u..

shingme.tistory.com

 

변경사항 Push 후 자동으로 Build 수행

로컬에서 소스코드 수정 후 push하면 jenkins에서 자동으로 인지하고 빌드를 수행한다.